'동물성 칼슘'에 해당되는 글 1건
굴 껍데기
소화장애가 적으며 천연 성분이므로 칼슘 흡수율(70~80%)이 높다.
심해에서 채취한 굴 껍데기를 갈아 분말로 만들어 압축하여
정제형으로 만든다.
조개껍데기
오염된 바다에서 구할 경우 중금속이 많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다.
동물 뼈
주로 수입산 소 뼈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수입 소는 방부제,
항생제, 성장촉진제, 광우병, 농약과 중금속에 오염된 사료에 노출되었을
가능성이 크다.
소화와 흡수도 잘 되지 않는다.
멸치
과게에는 갓 잡아온 멸치를 부두에서 햇볕에 말린 후 포장했기 때문에
멸치를 먹으면 칼슘과 비타민D를 모두 섭취할 수 있었다.
그러나 지금은 멸치를 잡으면 즉석에서 뜨거운 증기로 삶아 부두에
도착하기 전에 말려 포장하기 때문에 햇빛에 말릴 기회가 없다.
그러다 보니 요즘 멸치에는 비타민 D는 없고 칼슘은있으나 흡수율이
20%정고로 떨어진다.
멸치는 뼈와 살을 동시에 먹는 식품이다.
멸치의 뼈에 칼슘이 많은 것은 사실이지만 멸치의 살에는 강한 산성물질인
단백질이 많아 과잉 섭취하면 오히려 해가 될 가능성이 있다.
멸치는 칼로리 비율로 본다면 단백질이 80~90%나 되고
같은 무게를 기준으로 한다면 단백질이 우유에 비해 약 20배, 쇠고기의
약 2,8배, 콩의 약 1,6배나 많은 고단백질 식품이다.
우유
칼슘 함량도 많고 흡수율도 높다.
그러나 가공한 우유의 칼슘은 흡수율이 떨어진다.
우유를 칼슘만 많이 들어있는 것이 아니라 칼로리 비율이 단백질20%,
지방52%나 되는 고단백, 고지방 식품이기 때문에 칼슘 배설을 촉진하여
오히려 골다공증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높다.
거다가 우유(동물성)의 칼슘은 20%미만만 흡수된다.
아래의 하트 버튼을 눌러주셔서 잘 보고 간다는
표시를 해 주시면 감사합니다!
'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인류 역사상 최고의 무기는? (0) | 2013.11.27 |
---|---|
크리스마스란? (0) | 2013.11.26 |
칼슘제에 들어가는 칼슘원료들 (0) | 2013.11.26 |
별자리로 알아보는 혈액형 타입 (0) | 2013.11.15 |
사랑의 세대론/ 공감이 가는 유머 (0) | 2013.11.15 |
숯의 여러가지 쓰임새,,방부제,정수기,청정기,가습기 등의 역할까지,, (0) | 2013.11.15 |